본문 바로가기

Economy/장전 시황 전망

2024년 1월 31일~2월1일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이슈사항 정리노트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lulu-lala#입니다.
 
어느덧 24년 2월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번주에 있었던 증시 및 주요 이슈사항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24년 1월 31일(수) ~ 2월1일(목) 국내외 시장 동향과 이슈사항 확인하시고, 투자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의 성공 투자를 위해 항상 응원합니다 ^^


24년 1월 31일(수) ~ 24년 2월 1일(목) 국내외 시장 및 주요 이슈사항

[2024년 1월 31일(수)] : 국내 시장 / 미국시장 흐름

● 코스피 : -0.07pt 하락한 2,497.09pt로 마감하였습니다.  
 [코스피 수급] : 개인 -818억 / 외국인 +892억 / 기관 -39억 원이었습니다.
 
● 코스닥 : -2.40% 하락한  799.24pt로 마감하였습니다. 
 [코스닥수급] : 개인 +2,125억 / 외국인 -838억 / 기관 -1,226억 원이었습니다. 
 
→ 대표적인 성장주  AI, 로봇, 반도체, 2차 전지 등 高PBR  종목들이 집중적으로 매도 물량이 나왔습니다. 
    코스피는 이마트, SK, KIA, 롯데쇼핑, 삼성물산 등 급등하면서 코스피는 강세를 보이고, 코스닥은 급락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분위기는 2월까지 이어질것으로 증권가에서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 다우 -0.82% / 나스닥 -2.23% (15,164P) / S&P500 -1.61% (4,845P )
 
● WTI $75.8 / 달러인덱스 103.3 / 원화 1,334원 / 위안화 7.16위안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3.91% / 2년 만기 4.20% / 3개월 만기 5.37%
 

[2024년 2월 1일(목)] : 국내 시장 / 미국시장 흐름

● 코스피 : +1.82pt 상승한 2,542.46pt로 마감하였습니다.  
 [코스피 수급] : 개인 -1.2조 / 외국인 +1.04조 / 기관 +2,286억 원이었습니다.
 
● 코스닥 : -0.06% 하락한  798.73pt로 마감하였습니다. 
 [코스닥수급] : 개인 +533억 / 외국인 +1,393억 / 기관 -1,674억 원이었습니다.
 
● 다우 -0.97% / 나스닥 +1.30% (15,361P) / S&P500 +1.25% (4,906P )


● WTI $73.9 / 달러인덱스 102.8 / 원화 1,329원 / 위안화 7.18위안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3.87% / 2년 만기 4.20% / 3개월 만기 5.37%

 

[2024년 1월 31일(수) ~ 2월 1일(목)] : 주요 특징

국내 주요 특징(1월 31일) : 삼성전자 컨콜 후 약세 → 반도체 약세, 자사주 소각 관련 기업 선별강세 전반적으로 약세 지속
나스닥 하락, 빅테크 시간 외 하락 → 아침 -0.4% 수준 하락 출발 → 자동차, 2차 전지 상승으로 반등 시도했으나 매물 나오며 하락 → 코스닥 상대 약세 지속 ( 고 PBR 주식의 매물 )
 
→ PBR 1배 벨류업 정책적 이슈에 따라 상대적으로 코스피 종목 中 자사주가 많은 기업, ROE가 높고 자사주 소각 가능성이 있는 기업들, 자사주 소각을 실제로 발표하는 기업들이 지수를 올려 보합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반대로 高 PBR 종목들, 성장주 기업, 한동안 상승했던 종목, 미국시장 영향 등에 따른 영향으로 매물이 집중되어 하락한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해외 주요 특징(1월 31일) : FOMC 경계감으로 소폭 하락 시작 후 등락 박스
오후 급락 ( 3월 금리인하 기대 후퇴, QT 축소 3월에 논의 ) 매파적 발언 ? → “인플레이션 둔화 확인했고, 연준 참여자들은 올해 금리인하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있음 “ → 국채수익률 하락
 
애플 -1.94%( $184 ), 테슬라 -2.24%, 엔비디아 -1.99%( $615 ) MS -2.69%, 마이크론 -0.48%, 인텔 +0.37%, AMD -2.54%,
아마존 -2.39%, 메타 -2.48%, 넷플릭스 +0.22%, 알파벳 -7.50%
 
→ 3년 금리인하 기대 후퇴 + QT 축소에 대한 논의가 없는 실망감 + 빅테크 기업들의 어닝 미스 영향으로 알파벳 -7.50%,
아마존 -2.39%, 메타 -2.48% 등 커뮤니케이션 섹터의 종목 하락으로 시장을 끌어내렸습니다. 
전반적으로 미국시장은 조금 꺽이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흐름을 가지고 국내 시장을 보는 관점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2월은 정치적 노이즈 등의 잠재적인 이슈들이 나오지 않을까 보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특징(2월 1일) : 미국 하락에 비해, 소폭 하락 출발
외국인 선물 매수 ( +7,350 계약 ) → 비차익 매수 대량 유입 ( +1조 700억 ) ( 삼전 + 현대차, 5,000억 ) → 지주사, 자동차,
금융주, 삼성전자 매수코스피 큰 폭 상승 반면 코스닥 성장주들은 매물 나오며 하락코스닥 연속적 상대 약세
오후에는 에코프로비엠 등 일부 2차 전지, 레인보우로보 등 일부 로봇주 반등하며 가까스로 약보합 마감했습니다.
이닉스, 2차전지 부품 신규 상장 후 급등 +165%
 
해외 주요 특징(2월 1일) : 
소폭 상승 출발 → 장중 보합권 → 오후 상승 폭 확대하며 마감 1월 ISM 제조업 PMI 49.1 ( 12월 47.1 ) 호실적으로 시간 외,
아마존 +8.2%, 메타 +15% 애플, 컨센 상회, 중국매출 둔화, 시간 외 -1.5%
애플 +1.33%( $186 ), 테슬라 +0.84%, 엔비디아 +1.44%( $630 ) MS +1.56%, 마이크론 -0.16%, 인텔 +0.65%, AMD +1.66% 아마존 +2.88%, 메타 +1.19%, 넷플릭스 +0.60%, 알파벳 +0.76%
 
→ QT 축소를 언제 할 것이며, 얼마의 규모로 할 것인지 중요하며 5월 리펀딩 계획 발표 - 미국채 바이백 프로그램 공표 예고의 영향을 중요시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미국은 미국채를 팔아서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채가격이 떨어지고 국채수익률이 상승(미국 기준 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기존 발행된 국채는 상대적으로 똥값을 의미)하는 이유인데요. 이제는 "BUY BACK"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 BUY BACK 이란?
일반적으로 국채나 회사채를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해당 채권 기한이 만기 되기 전에 채권시장에서 국채나 회사채를 다시 사들임으로써, 미리 돈을 갚는 것을 말합니다.
국채 개념에서 바이백이란 뜻은 "국채 조기 상환"이란 뜻으로 이해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EX) 정부에서 세금을 걷게 되면, 그 돈으로 국채를 상환하여 국가 부채를 줄이고 재정 건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024년 1월 31일(수) 시황 전망 및 전략]

● 주요 이슈 : BOE 통화정책회의 ( 실적 발표 : 애플, 아마존 등 )
 
매크로

- GDP 및 소비자신뢰 호조 / PCE 2.9% → 시장 우호적 ( 매물 소화하며 견조 ) 기업 실적 발표 → 종목별 차별화 이벤트 마무리 → 매물 나오며 하락 전환 1월 다우 +1.22% / 나스닥 +1.02% / S&P500 +1.59% → 3개월 연속 상승
 
국내
- 1월 약세, 코스피 -5.96% ( 저점 -8.52% ) / 코스닥 -7.77% ( 저점 -7.77%)\
이번 주 ( 19일, 증시 밸류업 정책 ) 이후 코스피 상대 강세 / 코스닥 급락 2월 매도 주체였던 국내 기관 매물 약화 되었으나 미국 하락 전환 + 2월 이벤트 부재 + 설 연휴 등 → 시장 침체 국면 지속 정책, 실적 발표 등 이벤트로 개별 등락
 
[2024년 1월 30일(화) 시황 전망 및 전략]
● 주요 이슈  

 
매크로
- 물가 및 기준금리 흐름은 대체적으로 하락 및 인하로 공감 시장은 경기 및 기업 실적에 영향
 
국내
- 매크로 이슈 보다 정책에 의한 수급 우선 ( 이번주 : 코스피 개인 -2.2조 / 외국인 +1.67조 / 기관 +6,326억 코스닥 개인 +8,590억 / 외국인 -1,251억 / 기관 -6,953억 ( 투신 -2,880억 연기금 -1,520억, 사모 -2,570 ) 단기 자금들의 성장주에서 정책 이벤트 관련 종목으로 이동 
▶ 투신 + 연기금 + 사모펀드 조합 움직임 → 종목별 등락 차별화 심화 → 한정된 자금의 순환매 ( 중장기 : 정책 실효성 / 단기 : 순환매 )


2024년 1월 31일(수) ~ 2월 1일(목) 주요 이슈

1. 미국 상공회의소, ‘한국 플랫폼법’ 반대 ( 파이낸셜 뉴스 )

공정위 지배적 사업자 지정하고 규제, 정부안 2월 초 공개 네이버, 카카오, 구글, 애플, 메타 등 대상 → ‘외국 기업을 임의로 겨냥한 규제는 무역합의 위반사항’이라 비판외국 기업 규제 어려운 상황에서 국내 기업 역차별 논란
공정위, ‘국내외 이해관계자들과 충분히 소통하며 입법 추진
‘미국은 빅테크 반독점 법안 폐기 ( 중국으로부터 자국 기업 보호 )
유럽은 토종 플랫폼 보호 위해 디지털 시장법 제정 공정위 ‘ 플랫폼 법‘ 4대 제한행위 : 경쟁 온라인 플랫폼 이용 방해 / 거래 조건을 경쟁사보다 유리하게 요구 자사 제품 및 서비스를 경쟁사 것 보다 우대 / 다른 상품 끼워 팔기
 

2. 삼성전자 컨퍼런스 콜 주요 내용

23년 4Q는 30%대 성장 / 24년 1Q는 10%대 하락 전망 → 4Q는 컨센 상회, 서버 D램 전분기대비 60% 이상 성장
AI관련 HBM, SSD 수요에 대응하며 수익성 개선에 집중
24년 연간 메모리 생산 전반의 비트그로스는 제한적 전망재고 비축 수요보다는 진성 수요 위주로 공급
D램 재고는 1분기 후 정상 범위 / 낸드는 상반기 내 정상화 기대
투자는 HBM 위주로 집행되어, 그 외 제품들의 비트그로스는 제한적 HBM 판매량은 배 분기 기록을 경신, 올해 비중 지속 증가 할 것으로 보임.
 노트북 시장에서 OLED 수요 가파른 증가세 → 고객사와 기술 검증 하고 있으며 라인 셋업과 동시에 바로 양산
 

3. 애플 아이폰 출하량, 글로벌 스마트폰 브랜드 중 가장 큰 폭 하락할 것

중국 내 출하량 최근 몇 주 동안 30~40% 감소 → 중국 로컬 브랜드 성장, 폴더블폰 성장, AI기능 탑재 지연
아이패드 성장, 6월 개발자 회의 후 하반기 AI 기능 탑재 신제품 기대
 

4. 국민연금 가입자, 제조업 증가, 유통업 감소

500대 기업, 2년 동안 37,447명 증가 → IT 한파에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서 2만 명 증가
삼성전자 9,588명, CJ올리브영 3,546명, LG이노텍 2,907명 LG엔솔 2,519명, SK온 2,089명, SK하이닉스 1,708명 등 감소는, 이마트 -2,459명, 롯데쇼핑 -2,202명, KT -2,000명 LG전자 -1,696명, 씨티은행 -1,609명, 홈플러스 -1,018명 등
 

5. 미국 상공회의소, ‘한국 플랫폼법’ 반대 ( 파이낸셜 뉴스 )

공정위 지배적 사업자 지정하고 규제, 정부안 2월 초 공개
네이버, 카카오, 구글, 애플, 메타 등 대상 → ‘외국 기업을 임의로 겨냥한 규제는 무역합의 위반사항’이라 비판외국 기업 규제 어려운 상황에서 국내 기업 역차별 논란
공정위, ‘국내외 이해관계자들과 충분히 소통하며 입법 추진‘
미국은 빅테크 반독점 법안 폐기 ( 중국으로부터 자국 기업 보호 )
유럽은 토종 플랫폼 보호 위해 디지털 시장법 제정 공정위 ‘ 플랫폼 법‘ 4대 제한행위 : 경쟁 온라인 플랫폼 이용 방해 / 거래 조건을 경쟁사보다 유리하게 요구 자사 제품 및 서비스를 경쟁사 것 보다 우대 / 다른 상품 끼워 팔기 등

 

6. 미국 정부, 국채 발행 속도 조절

향후 3개월간 사상 최대 규모 국채 경매
→ 만기 도래 채권 $1,051억 상환을 위해 $1,210억 조달, $159억 추가
장기 국채수익률 급등 우려로 단기물 위주로 발행
이후 몇 개 분기 동안 국채 입찰 규모 늘리지 않을 것
5월 리펀딩 계획 발표 – 미국채 바이백 프로그램 시작일 공표 예고
 

7. 밸류업 우수 기업 100곳 인증제도 → “금융위, 아직 검토한 바 없음”

금융위, 2월 중 ‘기업 밸류 업 프로그램‘ 발표 예고
PBR 개선 등 적극 주주환원 상장사 인증 공표
상장 폐지 등 페널티 아닌 인센티브로 효과 낼 것
 

8. 중소 화장품, 미국 시장 판매 1위

23년 화장품 수출액 $54억 ( 22년 대비 +20% )
최대 수출국 미국 – 아마존, K브랜드 판매 순위 1위 등 상위권
미국 국제 무역위원회, 미국의 화장품 수입국 점유율 한국 20%로 1위
조선미녀, 스킨 1004, 믹순 등 브랜드 성장
 

9. 미국 반도체 업계, 한국 등 동맹국도 중국에 반도체 수출 통제 요청

“미국 정부의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가 동맹국보다 복잡하고 포괄적이라 미국 기업들이 경쟁에서 불리"
 

10. SK하이닉스, 인디애나주에 첨단 반도체 공장 건설 계획 ( 로이터 )

엔비디아 GPU에 들어갈 HBM 제조를 위한 특화 시설
미국 내 건설 중인 TSMC, SK하이닉스 공장 → 미국 내 엔비디아 공급망

 

이상입니다.
 
투자자 여러분들 건강 유의하시며 성공 투자를 빌겠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해 노력하는 자기 자신에게 칭찬을 하는 여러분이 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